◈ 아버지 지방 쓰는 법(부모 지방쓰는 법)
아버지 지방은 顯考學生府君 神位 현고학생부군 신위 라고 씁니다.
만일 망자가 생전에 벼슬이 있다면 학생을 빼고 벼슬을 적으면 됩니다. 예: 현고嘉善大夫부군 신위
지방을 쓰실 때는 몸과 마음을 정갈히 하고, 백지를 가로 약 6cm, 세로 약 22cm 정도로 자른 뒤 세로로 반을 접어 윗쪽만 모서리를 잘라내면 비석모양이 됩니다. 부부 중 한분만 돌아가셔서 단위제인 경우 세로로 접었다가 편 안쪽 선위에 세로로 쓰시고 두분이 모두 돌아가셔서 양위합제인 경우엔 접었다가 편 선 좌우에 쓰되, 쓰는 사람이 사람이 보기에 왼쪽에 남자를 오른쪽에 여자를 쓰고 후처(후실)가 있으면 남자를 왼쪽에 본처를 가운데에 후처를 오른쪽에 씁니다. 또 밥(메)이나 술잔을 올릴 때는 좌측이 상석이므로 좌측부터 올립니다.(남좌여우, 좌상우하(男左女右,左上右下)
일반적으로 제사에서 제주는 망자의 직계자손중 남자가 제주가되어 제사를 모십니다. 顯考學生 江陵崔公 神位 이말도 틀린것은 아니나 망자와 제사주관자가 성씨가 같은데 굳이 江陵崔公을 넣을 필요없이 顯考學生府君 神位라고 쓰면 府君이라는 용어가 나의 아버지라는 용어입니다.
사위나 성씨가 다를경우의 사람이 제사 주관자가 될 경우에는 顯考學生 江陵崔公 神位 본관을 써야합니다. 그러면 성씨가 같을 경우와 다를 경우의 구분이 불가함으로 성씨가 같을 경우에는 顯考學生府君 神位라고 쓰는 것입니다.
- 지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버지 제삿날이더라도 어머니까지 같이 모시므로(합설) 지방 한장에 두 분을 씁니다.
顯 顯 考 비 學 孺 生 人
府 月 君 城 李 氏
神 神 位 位
◈ 축문 쓰는 법(기제사)
축문은 제주가 신위께 드리는 말씀인데요, 축문에 돌아가신 해의 간지는 들어가지 않습니다. 간지는 날짜를 의미하는데 제사지내는 그해의 간지가 들어갑니다.
- 아버지 제사 축문: (부모님 양위 합설) 음8/28
維 歲次 庚寅 八月 辛酉朔 二十八日 戊子 孝子○○ 유 세차 경인 팔월 신유삭 이십팔일 무자 효자이름
敢昭告于 감소고우
顯考學生府君 현고학생부군
顯비孺人月城李氏 歲序遷易 현비유인월성이씨 세서천역
顯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현고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饗 향
- 해석: 경인년 8월 28일 큰아들 ○○는 아버님, 어머님께 아뢰옵니다. 계절이 바뀌어 아버님 제사날이 돌아와 아버님, 어머님을 생각하니 하늘 같이 넓고 끝이 없는 은혜에 보답할 길이 없는 것은 여전합니다. 이에 삼가 맑은 술과 제수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구절별 해석: 유 세차 : 세월은 흘러 올해가... (○○년입니다) 의 뜻. 유 세차 ○○ : ○○는 제사 지내는 그 해가 무슨해인가( '甲子' 年 등 간지) ○월 : ○는 제사 지내는 그 달이 음력으로 몇월 달인가( '五' 등 숫자) ○○삭 : ○○는 제사 지내는 그 달(음력)의 1일(초하루) 일진( '甲子' 등 간지) 삭 : 초하루를 뜻하는 漢字. ○○일 : ○○는 제사 지내는 그 날이 음력으로 몇일 인가( '十五' 등 숫자) 일○○ : ○○는 제사 지내는 그 날의 일진( '甲子' 등 간지) 효자 : 장자(큰아들)을 뜻함. 혹은 상례 절차를 잘 마쳤으므로 효자로 본다는 뜻. 효자○○ : ○○는 제주(큰아들)의 이름. 감소고우 : 삼가 밝게 아뢰다. 세서천역 : 세월이 흘러 때가 바뀌었다. 휘일부림 :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다. 추원감시 : 돌아가신 때를 맞이하여 진정한 마음으로 감동하다. 호천망극 : '하늘이 넓고 끝이 없다' 는 뜻으로 '부모의 은혜가 크고 끝이 없음' 을 이르는 말. 청작서수 :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 공신전헌 : 공손히 제물(祭物)을 올리다. 제사를 지내다. 상향 : 흠향하시옵소서.
관련검색어 : 신위 지방 제사 차례상 지방쓰기 아버지 지방쓰는법 부모 지방쓰는법 지방양식 축문 쓰는법 지방출력
|